로버트 윌슨 (연극 감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윌슨은 1941년 텍사스주 웨이코에서 태어난 미국의 연극 감독, 시각 예술가이다. 1960년대 후반 실험 연극 단체인 '버드 호프만 스쿨 오브 버즈'를 설립하여, 1970년대 초 작곡가 필립 글래스와 안무가 루신다 차일즈와 함께 오페라 《해변의 아인슈타인》을 제작하여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1980년대 이후 유럽의 주요 극장과 오페라 하우스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오페라와 연극 작품을 연출했으며, 조각, 드로잉, 가구 디자인 등 시각 예술 분야에서도 활동했다. 1991년 뉴욕 롱아일랜드에 워터밀 센터를 설립하여 예술가 레지던시, 교육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1997년 유럽 연극상, 1993년 베니스 비엔날레 조각 부문 황금사자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웨이코 출신 - 로이 하그로브
로이 하그로브는 미국의 재즈 트럼펫 연주자이자 작곡가였으며, 퀸텟, 빅 밴드 등 다양한 밴드를 이끌며 그래미상을 수상했고, 1990년대 후반 네오 소울 운동에도 참여했으며 2018년 사망했다. - 웨이코 출신 - 제니퍼 러브 휴잇
제니퍼 러브 휴잇은 미국의 배우, 가수, 작가로, 아역 배우로 데뷔하여 1990년대 후반 십대 스타덤에 오른 후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서 활동하며 《고스트 위스퍼러》와 《9-1-1》에서 주연을 맡아 큰 성공을 거두었고 가수 및 작가로서도 활동하고 있다. - 텍사스주 출신 작가 - 조지 W. 부시
조지 W. 부시는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텍사스 주지사를 거쳐 제43대 미국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9·11 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을 수행하고 감세 정책과 허리케인 카트리나 대응으로 논란을 겪었다. - 텍사스주 출신 작가 - 로라 부시
로라 부시는 미국의 영부인으로서 교육 및 읽기 능력 향상, 여성 건강, 아동 복지에 힘썼으며, 텍사스 영부인 시절부터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영부인 재임 기간에는 아프가니스탄 여성 인권 문제와 유방암, 심장병 인식 개선 등 국제적인 활동을 펼쳤다. - 텍사스주의 성소수자 인물 - 재니스 조플린
재니스 조플린은 허스키한 보컬과 파워풀한 무대 매너로 1960년대를 대표하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여성 로커로, 빅 브라더 앤 더 홀딩 컴퍼니의 리드 보컬로 활동하며 솔로 활동으로도 성공을 거두었으나 27세의 나이로 사망 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텍사스주의 성소수자 인물 - 앨빈 에일리
앨빈 에일리는 흑인 문화와 경험을 춤으로 표현하고자 알빈 에일리 아메리칸 댄스 시어터를 설립하여 대표작 《레벨레이션》을 통해 흑인 영가와 블루스 음악을 배경으로 한 작품으로 찬사를 받았으며, 흑인 무용수들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미국 현대 무용을 대표하는 단체로 인정받으며 미국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로버트 윌슨 (연극 감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이름 | 로버트 윌슨 |
원어명 | Robert Wilson |
출생일 | 1941년 10월 4일 |
출생지 | 웨이코, 텍사스주, 미국 |
직업 | 연극 감독, 예술가 |
교육 | 프랫 인스티튜트 (BFA) |
활동 기간 | 1960년대–현재 |
웹사이트 | 로버트 윌슨 공식 웹사이트 |
2. 초기 생애 및 교육
윌슨은 텍사스주 웨이코에서 변호사인 아버지 D.M. 윌슨과 어머니 로리 벨마(옛 성: 해밀턴) 사이에서 태어났다.[3] 그는 보수적인 집안에서 게이 아들로서 힘든 어린 시절을 보냈다.[4] 그는 당시 환경에 대해 "내가 자랄 때는 극장에 가는 것이 죄였다. 여자가 바지를 입는 것도 죄였다. 학교에는 기도 상자가 있었는데, 누군가 죄를 짓는 것을 보면 그 사람의 이름을 기도 상자에 넣을 수 있었고, 금요일마다 모든 사람이 기도 상자에 이름이 적힌 사람들을 위해 기도했다"고 회상했다.[5] 어린 시절 말을 더듬었으나, 지역 댄스 강사 버드 "베이비" 호프만의 도움으로 이를 극복했다.[6]
로버트 윌슨은 1960년대 후반 뉴욕에서 실험적인 공연 단체 '버드 호프만 스쿨 오브 버즈'(Byrd Hoffman School of Byrdseng)를 설립하며 본격적인 연출 활동을 시작했다.[25] 초기에는 《데프맨 글랜스》(Deafman Glanceeng), 《요제프 스탈린의 삶과 시대》(The Life and Times of Joseph Stalineng)와 같이 언어 중심의 서사보다는 시각적 이미지를 강조하고, 공연 시간을 극단적으로 확장하는 등 혁신적인 시도를 선보였다.[10][12] 특히 1976년 작곡가 필립 글래스와 협업한 오페라 《해변의 아인슈타인》(Einstein on the Beacheng)은 세계적인 반향을 일으키며 그의 이름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25][10]
지역 학교를 다닌 후, 1959년부터 1962년까지 텍사스 대학교에서 경영학을 공부했다. 그러나 1963년 전공을 바꿔 미술과 건축을 공부하기 위해 뉴욕주 브루클린으로 이주했다. 한때 애리조나로 가서 사막 단지에서 파올로 솔레리와 함께 건축을 공부하기도 했다.[7] 뉴욕에서 그는 조지 발란신, 머스 커닝햄, 마사 그레이엄 등 선구적인 안무가들의 작품에 매료되었다.[8] 또한 뇌 손상 및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치료 연극 작업을 했으며, "참가자들이 입으로 형광 스트리머를 움직이는 동안, 청소부가 미스 아메리카 복장을 하고 춤을 추는 인공호흡기 환자를 위한 발레"를 연출하기도 했다.[6] 이 기간 동안 라슬로 모호이너지의 미망인인 시빌 모호이너지의 강의를 들었고, 화가 조지 맥닐에게 그림을 배웠다. 1965년 프랫 인스티튜트에서 건축 전공으로 BFA 학위를 받았다.[9]
3. 경력
1980년대 이후 윌슨은 함부르크, 베를린, 파리, 밀라노 등 유럽의 주요 극장 및 오페라 하우스와 활발하게 작업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더욱 공고히 했다. 이 시기 그는 셰익스피어, 에우리피데스, 입센 등 고전 작가들의 작품부터 브레히트, 베케트 등 현대 작가들의 희곡, 그리고 바그너, 드뷔시, 슈트라우스 등의 오페라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레퍼토리를 자신만의 독특한 미학으로 재해석하여 무대에 올렸다.[61][62] 대표작으로는 《리어 왕》, 《알케스티스》, 《파르지팔》, 《로엔그린》, 《서푼짜리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등이 있다.
윌슨은 연극 연출 외에도 조각, 드로잉, 가구 디자인, 비디오 아트 등 시각 예술 분야에서도 꾸준히 활동하며 다재다능한 예술가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다.[29] 그의 시각 예술 작품들은 베네치아 비엔날레, 조르주 퐁피두 센터, 솔로몬 R. 구겐하임 미술관 등 세계 유수의 미술관과 갤러리에서 전시되었다.[41]
3. 1. 초기 실험 연극 (1960년대 후반 ~ 1970년대)
1968년, 로버트 윌슨은 실험적인 공연 단체인 '버드 호프만 스쿨 오브 버즈'(Byrd Hoffman School of Byrdseng)를 설립했다. 이 단체의 이름은 그가 십 대 시절 말더듬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준 선생님의 이름에서 따왔다.[25] 이 단체를 통해 1969년 《스페인 왕》(King of Spaineng)과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삶과 시대》(The Life and Times of Sigmund Freudeng)를 시작으로 그의 초기 주요 작품들을 선보였다.[25]
1970년에는 안무가 앤디 드그로트, 댄서이자 배우인 셰릴 서튼 등과 협력하여[11] 아이오와 시티에서 "침묵 오페라"로 불리는 《데프맨 글랜스》(Deafman Glanceeng)를 제작했다. 이 작품은 12월 15일 뉴 퍼포밍 아트 센터에서 레이몬드 앤드루스와 아나 멘디에타가 출연하여 초연되었다.[11][10] 《데프맨 글랜스》는 이후 프랑스 낭시 축제와 브루클린 음악 아카데미에서도 공연되었으며, 파리에서는 디자이너 피에르 카르댕의 후원으로 무대에 올랐다.[10] 이 작품은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는데, 특히 초현실주의 시인 루이 아라공은 이를 극찬하며, 이미 세상을 떠난 앙드레 브르통에게 보내는 형식의 편지에서 윌슨을 "초현실주의가 우리에게서 시작되었고, 우리를 넘어 우리 이후에 올 것이라고 우리가 꿈꿨던 것"이라고 평가했다.[10][12]
1973년에는 12시간에 달하는 대작 《요제프 스탈린의 삶과 시대》(The Life and Times of Joseph Stalineng)를 발표하며 실험적인 작업을 이어갔다. 1975년, 윌슨은 '버드 호프만 스쿨 오브 버즈'를 해체하고 전문 배우들과 작업하기 시작했다.[6]
1970년대 초부터 오페라 작업에 관심을 보인 윌슨은 1976년, 작곡가 필립 글래스 및 안무가 루신다 차일즈와 협력하여 기념비적인 오페라 《해변의 아인슈타인》(Einstein on the Beacheng)을 발표했다.[25] 이 작품은 윌슨과 협업 예술가들에게 세계적인 명성을 안겨주었으며, 20세기 공연 예술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뉴욕 데뷔 당시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는 공연이 없는 일요일에 극장을 빌려주었지만, 직접 제작에 참여하지는 않았다.[10] 《해변의 아인슈타인》의 성공 이후, 윌슨은 유럽의 주요 극장 및 오페라 하우스와 더욱 활발하게 작업하게 되었다.[25]
3. 2. 국제적 활동 및 오페라 연출 (1980년대 ~ 현재)
3. 3. 시각 예술 및 디자인
윌슨은 무대 작업 외에도 조각, 드로잉, 가구 디자인 등 다양한 시각 예술 작품을 제작했다.[29] 1976년 12월 Paula Cooper Gallery에서 그의 스토리보드가 전시되었는데, 한 평론가는 이를 두고 "[윌슨]의 연극 스타일처럼 느린 속도로 진행되는 연작 예술"과 같다고 평하며, "드로잉을 거듭하면서 세부 사항이 제안되고, 분석되고, 다듬어지고, 재정의되며 다양한 위치를 거친다"고 묘사했다.[29]
그는 1993년 베네치아 비엔날레에서 조각 설치 작품으로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
2004년, 알리 호세이니의 제안으로 텔레비전 채널 LAB HD의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다.[30] 이를 계기로 윌슨은 프로듀서 에스더 고든, 이후 매튜 섀턱과 함께 《Voom Portraits》라는 제목의 고화질 비디오 시리즈 수십 편을 제작했다. 이 프로젝트에는 작곡가 마이클 갈라소, 작고한 예술가이자 디자이너인 유진 차이, 패션 디자이너 케빈 산토스, 조명 디자이너 우르스 쇤바움 등 여러 협력자가 참여했다. 작품의 모델로는 유명 인사뿐만 아니라 왕족, 동물, 노벨상 수상자, 심지어 거리의 부랑자까지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여 주목받았다.[31]
2011년에는 핀란드 디자이너 타피오 비르칼라(1915–1985)를 기리는 예술 공원을 헬싱키의 아라비안란타 지역에 디자인했다. 공원은 사각형 모양으로, 중앙 광장이 덤불로 나뉜 9개의 동일한 크기의 밭으로 구성된다. 각 밭에는 좌석 역할을 하는 돌로 둘러싸인 작은 벽난로처럼 집과 관련된 물건이 설치될 예정이었다. 공원 조명으로는 땅에 매립된 대형 라이트박스 스타일의 램프와 일반적인 플로어 램프를 닮은 작은 램프가 계획되었다.[32]
2013년, 미국의 팝 가수 레이디 가가는 자신의 ARTPOP 프로젝트 일환으로 윌슨과 협업한다고 발표했다. 윌슨은 2013년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에서 레이디 가가의 공연 무대 세트를 디자인했으며,[33] 가가에게 자신의 《Voom Portraits》 시리즈 모델이 되어 달라고 제안하기도 했다.[33] 당시 루브르 박물관의 객원 큐레이터로 레지던시를 앞두고 있던 윌슨은 박물관 소장품 중 '죽음'을 주제로 선정했다. 그는 런던 스튜디오에서 3일간 가가와 함께 비디오를 촬영했는데, 가가는 한 번에 14~15시간 동안 포즈를 취했다고 전해진다.[33] "Living Rooms"라는 제목으로 열린 결과 전시회에는 두 개의 비디오 작품이 포함되었다. 하나는 자크 루이 다비드의 유명한 그림 ''마라의 죽음''에서 영감을 받아 회화 갤러리에 전시되었고, 다른 하나는 앵그르의 그림 속 인물에 레이디 가가가 생명을 불어넣은 작품이었다.[10] 윌슨은 루브르 박물관 레지던시 기간 동안 강당에서 일련의 공연, 대화, 영화 상영 및 토론을 직접 주최하고 참여했으며,[34] 아프리카 가면, 셰이커 의자, 고대 중국 도자기, 마를렌 디트리히가 신었던 신발, 1980년대 초 로버트 메이플소프가 촬영한 윌슨과 필립 글래스의 사진 등 자신의 개인 소장품을 전시하기도 했다.[10]
윌슨의 시각 예술 작품은 전 세계 주요 미술관에서 전시되었다. 파리의 조르주 퐁피두 센터(1991)와 보스턴 미술관(1991)에서 대규모 회고전이 열렸으며,[41] 암스테르담 시립 미술관, 로테르담의 보이만스 반 뵈닝겐 미술관(1993), 런던의 클링크 스트리트 볼트(1995), 노이에 국립 미술관(2003), 뉴욕의 솔로몬 R. 구겐하임 미술관, 구겐하임 미술관 빌바오 등에서도 설치 작품을 선보였다.[41] 이사무 노구치에게 헌정하는 작품은 시애틀 미술관에서 전시되었고,[25] 《Voom Portraits》 전시는 함부르크, 밀라노, 마이애미, 필라델피아 등 여러 도시를 순회했다.[25] 2012년에는 타임스 스퀘어 아트(Times Square Arts)의 초청으로 타임스 스퀘어의 20개가 넘는 디지털 스크린을 통해 그의 3분짜리 비디오 초상화 컬렉션이 상영되기도 했다.[41][42] 2013년에는 테살로니키 비엔날레 4에 참여했으며, 예술가 베티나 비테빈과 협력하여 그녀의 사진집 "Sacred Sister"(1995년 인도네시아와 동남아시아 여성들을 촬영한 사진 모음)를 기반으로 한 전시 공간을 만들었다. 이 전시 공간은 2003년 아트 바젤 마이애미 비치에 설치되었으며, 스튜디오 바닥을 가을 낙엽으로 덮어 구성했다.[43]
윌슨의 작품은 뉴욕의 RW Work, Ltd.가 전 세계 독점 대리하며, 뉴욕 시에서는 폴라 쿠퍼 갤러리가 그의 갤러리스트 역할을 하고 있다.
4. 스타일
로버트 윌슨은 연극의 경계를 넓히는 연출가로 알려져 있다. 그의 작품은 절제된 스타일, 매우 느린 움직임, 그리고 공간 또는 시간의 극단적인 규모로 유명하다. 예를 들어, ''요셉 스탈린의 삶과 시대''는 12시간 동안 공연되었으며, ''KA MOUNTain and GUARDenia Terrace''는 이란의 산 정상에서 7일 동안 상연되기도 했다. 또한 빛, 언어, 움직임 등을 혁신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그의 작품의 주요 특징이다.
4. 1. 언어
언어는 연극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로버트 윌슨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를 자유자재로 다루는 데 능숙하다. 브랜다이스 대학교의 연극 교수인 아서 홀름버그는 "연극에서 로버트 윌슨만큼 언어의 위기를 격렬한 천재성으로 극화한 사람은 없다."[37]고 평가한다. 윌슨은 자신의 작품을 통해 언어의 '무엇'과 '왜'가 매우 중요하며 간과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준다. 윌슨과 함께 작업한 작곡가이자 협력자인 톰 웨이츠는 윌슨의 독특한 언어 관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밥에게 단어는 밤의 어둠 속 부엌 바닥에 있는 징과 같아서 맨발로 걷는 것과 같다. 그래서 밥은 다치지 않고 단어를 걸어갈 수 있는 길을 닦는다. 밥은 단어의 가치와 형태를 바꾼다. 어떤 의미에서 그들은 더 많은 의미를 갖게 되고, 어떤 경우에는 덜 의미를 갖게 된다.[37]
윌슨은 모든 작품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언어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그는 거트루드 스타인의 작품을 읽고 그녀의 음성을 들은 것이 "자신의 사고방식을 영원히 바꾸었다."[38]고 말한다. 윌슨은 1990년대에 스타인의 작품 세 편, ''파우스트 박사, 빛을 밝히다''(1992), ''세 개의 막 속의 네 성인''(1996), 그리고 ''성인과 노래''(1998)를 연출했다.
윌슨은 언어, 그리고 언어의 구성 요소인 단어를 일종의 "사회적 인공물"[37]로 간주한다. 언어는 시간뿐만 아니라 개인, 문화에 따라서도 변화한다. 정신 지체 아동과 함께 작업하고, 자폐 시인 크리스토퍼 놀스와 협력한 경험은 윌슨이 다양한 관점에서 언어에 접근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윌슨은 종종 "밀턴 풍의 풍요함과 현대적인 언어, 유아적인 시와 언어 이전의 비명"을 병치하여 관객에게 언어가 얼마나 파악하기 어렵고 끊임없이 변화하는지를 보여준다.[37] 단어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도 윌슨이 언어의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또 다른 방법이다. 그의 무대 디자인, 프로그램 표지, 포스터에는 종종 단어들이 채워져 있는데, 이는 관객이 "언어가 지칭하는 대상과 의미"가 아닌 "언어 자체"를 바라보게 만든다.[37]
언어의 부재, 즉 침묵 또한 윌슨의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치 예술가가 양의 공간과 음의 공간을 활용하듯, 윌슨은 소음과 침묵을 사용한다. ''리어왕'' 제작 과정에서 그는 배우들의 언어 중심적 훈련 방식을 비판하며 침묵과 신체 언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배우들이 여기서 훈련받는 방식은 잘못되었다. 그들은 텍스트를 해석하는 것만 생각한다. 그들은 단어를 어떻게 말할지 걱정하고, 몸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모른다. 그들이 걷는 방식을 보면 알 수 있다. 그들은 공간 속 제스처의 무게를 이해하지 못한다. 훌륭한 배우는 손가락 하나만 움직여도 관객을 사로잡을 수 있다.[37]
이러한 침묵에 대한 강조는 그의 여러 작품에서 나타난다. 단어 없이 진행되는 연극 ''데프맨 글랜스''나, 하이네르 뮐러의 연극 ''쿼르텟''을 각색하며 15분 길이의 무언 서곡을 포함시킨 것이 대표적이다. 홀름버그는 이러한 시도에 대해 "언어는 많은 일을 잘 해낸다. 하지만 우리는 언어가 잘 하지 못하는 일에 대해 눈을 감는 경향이 있다. 단어의 오만함에도 불구하고 모든 경험을 언어적 코드로 번역할 수는 없다."[37]고 설명한다. 20세기 극작가 외젠 이오네스코는 윌슨의 침묵이 "말하는 침묵"이라며 그가 사무엘 베케트를 능가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37] 무대 위의 침묵은 관객에게 불안감을 줄 수 있지만, 동시에 언어의 부재를 통해 역설적으로 언어의 중요성을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이는 "왜 아무도 보지 않는가? 왜 아무도 보는 법을 모르는가? 왜 아무도 무대 위에서 아무것도 보지 못하는가?"[37]라는 윌슨 자신의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윌슨은 단어가 특정 등장인물에게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기법도 사용한다. 그의 작품 ''나는 내 안뜰에 앉아 있었고, 이 남자가 나타났고, 나는 내가 환각을 겪고 있다고 생각했다''에서는 두 명의 등장인물이 동일한 의식의 흐름 독백을 연기한다. 초기 프로덕션에서 한 배우는 "냉담하고, 차갑고, 정확하게" 연기한 반면, 다른 배우는 "엉뚱한 코미디… 따뜻함과 색상… 장난기"를 담아 연기했다.[37] 같은 독백이라도 강조점과 전달 방식에 따라 전혀 다른 의미를 지니게 되어, "관객들은 같은 독백을 두 번 들었다는 것을 믿기 어려워했다."[37] 윌슨은 관객에게 단어의 의미를 규정하기보다 해석의 여지를 열어둠으로써 "의미는 말뚝에 매달린 말처럼 단어에 묶여 있지 않다."[37]는 생각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4. 2. 움직임
움직임은 로버트 윌슨의 작품에서 핵심적인 요소이다. 댄서 출신인 그는 배우가 무대에서 움직이는 방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움직임이 지니는 무게를 잘 알고 있다. 윌슨은 입센의 "말 없는 연극" 연출작인 ''우리가 죽은 자들로부터 깨어날 때''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텍스트 작업 전에 움직임을 먼저 한다. 나중에 텍스트와 움직임을 함께 넣을 것이다. 먼저 움직임을 하는 것은 말 없이도 충분히 강력하게 자체적으로 설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움직임은 자체적인 리듬과 구조를 가져야 한다. 텍스트를 따라가서는 안 된다. 텍스트를 설명하지 않으면서 강화할 수 있다. 듣는 것과 보는 것은 두 개의 다른 층이다. 그것들을 함께 놓으면, 또 다른 질감을 만들어낸다.[37]
이러한 움직임에 대한 강조 때문에 윌슨은 오디션조차 움직임의 필요성에 맞춰 진행한다. 그는 오디션에서 "종종 정교한 움직임 시퀀스를 보여주고" "배우에게 그것을 반복하도록 요구"한다.[37] ''the CIVIL warS''의 배우였던 토마스 데라는 오디션 과정을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회상한다. "제가 들어갔을 때, [윌슨]은 31 카운트에 맞춰 방을 가로질러 걷고, 7 카운트에 앉고, 59 카운트에 손을 이마에 대라고 했습니다. 저는 그 과정 전체에 당황했습니다."[37] ''the CIVIL warS''의 또 다른 배우 세스 골드스타인은 "제가 플랫폼에 발을 들여놓는 순간부터 떠날 때까지 모든 움직임은 초 단위로 안무되었습니다. 테이블 장면 동안 제가 한 일은 움직임을 세는 것뿐이었습니다. 제가 생각한 것은 타이밍뿐이었습니다."[37]라고 말하며 윌슨 작품에서 움직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텍스트와 움직임을 함께 결합할 때에도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윌슨은 텍스트에 주의를 기울이며, 관객이 내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텍스트 주변에 "공간"을 확보한다.[37] 배우들은 이미 자신들의 움직임과 소요 시간을 알고 있으며, 윌슨은 이러한 행동들을 특정 텍스트에 맞춰 배치한다. 그의 목표는 텍스트의 리듬과 움직임의 리듬을 다르게 하여, 관객이 두 요소를 별개로 인식하고 각각의 의미를 파악하도록 하는 것이다. 텍스트와 움직임을 맞추는 단계에서 윌슨은 종종 리허설을 멈추고 "무언가 잘못되었어. 스크립트를 확인해서 숫자를 제대로 넣었는지 봐야 해."[37]와 같이 말하며 정확성을 강조한다. 그는 이러한 분리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텍스트와 움직임을 분리하고 두 개의 다른 리듬을 유지하는 것은 지옥이라는 것을 압니다. 혀와 몸이 서로 반대로 작동하도록 훈련하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그러나 우리가 말하는 것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일들이 몸에서 일어납니다. 정신과 몸이 서로 다른 장소에 있고, 다른 현실 영역을 차지하는 것이 더 흥미롭습니다.[37]
이러한 리듬의 분리는 관객의 정신을 긴장하게 유지하며, 의식적 및 잠재의식적으로 움직임 뒤의 의미와 그것이 언어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탐색하게 만든다.
윌슨은 작품에서 언어의 부재를 활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움직임의 부재가 가질 수 있는 중요성 또한 인식하고 있다. ''메데아'' 연출 당시, 그는 주연 가수가 아리아 전체 동안 가만히 서 있고 다른 배우들이 주변에서 움직이는 장면을 만들었다. 윌슨은 당시 상황을 이렇게 회상한다. "그녀는 저에게 아무런 움직임을 주지 않으면 아무도 그녀를 알아차리지 못할 거라고 불평했어요. 저는 그녀에게 서 있는 법을 안다면 모두가 그녀를 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저는 그녀에게 천 년 동안 같은 자리에 서 있던 여신 대리석 조각상처럼 서 있으라고 말했습니다."[37] 배우가 한마디 말 없이도 무대에서 강한 존재감을 드러내는 것은 매우 인상적인 연출이며, 이는 윌슨이 무대에 부여하는 모든 움직임을 통해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보여준다.
4. 3. 빛
윌슨은 연극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빛이라고 믿는다.[37] 그는 무대 위 이미지가 어떻게 정의되는지에 관심을 두는데, 이는 대상이나 장면을 비추는 빛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그는 조명 디자인이 작품에 진정으로 생명을 불어넣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윌슨의 작품 ''the CIVIL warS''의 무대 디자이너였던 톰 캄은 그의 철학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윌슨에게 세트는 빛이 닿는 캔버스이며, 마치 물감이 칠해지듯 빛을 사용합니다."[37] 윌슨 스스로도 "만약 당신이 조명을 어떻게 다룰지 안다면, 똥도 금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나는 빛으로 그림을 그리고, 만들고, 구성한다. 빛은 마법의 지팡이와 같다."라고 말하며 빛의 중요성을 강조했다.[37]윌슨은 "조명 디자이너로 이름을 올린 유일한 주요 연출가"로 평가받으며, 일부 비평가들에게는 "우리 시대 최고의 빛의 예술가"로 인정받고 있다.[37] 그는 단순히 켜고 끄는 패턴을 넘어, 빛이 끊임없이 흐르도록 디자인하여 마치 "음악 악보"와 같은 조명을 만들어낸다.[37] 그의 조명 디자인은 "밀도 있고 뚜렷한 질감"을 특징으로 하며, 인물과 사물이 배경으로부터 두드러져 보이게 만든다.[37] 예를 들어, 연극 ''Quartett''에서는 단 90분 동안 400개의 정교한 조명 변화(큐)를 사용하기도 했다.[37]
그는 완벽주의자로서 자신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다. ''Quartett'' 작업 당시, 15분 길이의 독백 장면 조명을 완성하는 데 이틀이 걸렸고, 단 하나의 손짓을 위한 조명을 설정하는 데 거의 세 시간이 소요되었다.[37] 이러한 세부 사항에 대한 집착은 "빛은 무대에서 가장 중요한 배우"라는 그의 신념을 잘 보여준다.[37] 연극 전문가 옥타비안 사이우와의 대화에서 자신의 스타일이 자주 모방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에, 윌슨은 "세상은 도서관"과 같아서 모든 예술가는 다른 예술가로부터 자유롭게 영감을 얻고 빌려올 수 있다고 답했다.[39]
4. 4. 소품
윌슨은 디자인에 대한 관심을 연극의 소품으로까지 확장하여, 직접 디자인하고 때로는 제작에도 참여한다.[37] 가구나 전구, 거대한 악어 등 종류를 가리지 않고 각각의 소품을 그 자체로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 다룬다. 그는 최종 소품을 만들기 전에 항상 실물 크기의 모형을 제작하여 무대 위에서의 "비율, 균형, 시각적 관계를 확인"할 것을 요구한다.[37]모형이 승인되면 제작진이 실제 소품을 만들지만, 윌슨은 "자신이 만족할 때까지 끊임없이 다시 만들게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37] 그의 세심함은 매우 철저해서, 기술 감독 제프 머스코빈이 《콰르텟》 공연을 위해 나무 의자 대신 나무 외피를 씌운 알루미늄 의자를 제안했을 때, 윌슨은 다음과 같이 거절했다.
> 안 돼, 제프, 나는 나무 의자를 원해. 알루미늄으로 만들면, 의자가 넘어졌을 때 바닥에 부딪히는 소리가 제대로 나지 않을 거야. 금속 소리가 날 거고, 나무 소리가 안 날 거야. 그러면 가짜 소리가 날 거야. 튼튼한 나무를 구해 오도록 해. 그리고 옹이는 없어야 해.[37]
이러한 완벽주의와 세심함 때문에 그의 소품들은 대개 가격이 매우 비싸다. 큐레이터들은 그의 소품들을 조각 작품으로 간주하며,[37] 실제로 4500USD에서 8만달러에 이르는 가격에 판매되기도 했다.[40]
5. 워터밀 센터
1991년 윌슨은 뉴욕 롱아일랜드 이스트 엔드에 위치한 과거 웨스턴 유니온 연구소 부지에 워터밀 센터를 설립했다. 본래 "공연을 위한 연구소"로 명명되었던 워터밀 센터는 연중 내내 예술가 레지던시, 공공 교육 프로그램, 전시회 및 공연을 운영한다. 이 센터는 정원과 조경으로 이루어진 10acre 부지에 자리 잡고 있으며, 윌슨이 수집한 수많은 예술 작품들을 소장하고 있다.[35]
6. 수상 경력
1997년 타오르미나에서 제5회 유럽 연극상을 수상했다. 심사 위원단은 윌슨이 30년간 무대 예술을 독창적으로 재창조하며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새롭게 정의한 공로를 높이 평가했다. 또한 현실 재현을 넘어선 추상적 비전 제시, 시각 예술, 음악, 춤, 언어를 아우르는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토탈 시어터'를 추구한 점을 수상 이유로 밝혔다.[44] 그의 작업은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하나의 거대한 작품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장르를 융합하고 국제적인 협력을 이끌어낸 점도 높이 평가받았다.[44]
- 1971년, 1980년 구겐하임 펠로십 (Guggenheim Fellowship)
- 1971년 드라마 데스크상 연출상 - 《데프맨 글랜스》 (Deafman Glance)
- 1975년 록펠러 재단 펠로우십 (Rockefeller Foundation Fellowship)
- 1981년 아시아 문화 협의회 펠로우십 (Asian Cultural Council Fellowship)
- 1986년 퓰리처상 드라마 부문 후보[48]
- 1987년 다큐멘터리 《로버트 윌슨과 남북전쟁》 (Robert Wilson and the Civil Wars)의 주인공 (연출: 하워드 브룩너)[45]
- 1993년 베니스 비엔날레 조각 부문 황금사자상[46]
- 1996년 도로시 앤 릴리언 기시상[46]
- 1997년 유럽 연극상[15]
- 2000년 미국 예술 문학 아카데미 회원 선출[48]
- 2001년 미국 국립 디자인 어워드 평생 공로상[46]
- 2002년 프랑스 예술 문화 훈장 코망되르 (Commandeur)[46]
- 2005년 토론토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48]
- 2009년 하인 헤크로트 상 (Hein Heckroth Prize) - 무대 디자인 부문 평생 공로상[48]
- 2009년 함부르크 시 예술 과학 메달[47]
- 2009년 알리앙스 프랑세즈 트로페 데 자르 상 (Trophée des Arts Award)[25]
- 2013년 뉴욕 시립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48]
- 2013년 올리비에상 최우수 신작 오페라상 - 《해변의 아인슈타인》[49]
- 2013년 VAEA 파에스 예술 메달 (Paez Medal of Art)[50]
7. 작품 목록
- 셰익스피어의 ''리어 왕'', 1985
- 에우리피데스의 ''알케스티스'', 1986–1987[61]
- 리하르트 바그너의 ''파르지팔'', 함부르크, 1991[62]
- 거트루드 스타인의 ''Doctor Faustus Lights the Lights'', 헤벨 극장 (베를린), 1992
- ''로엔그린'',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1998
-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대양 비행'', 베를리너 앙상블, 1998
- 리하르트 바그너의 ''니벨룽의 반지'', 취리히 오페라
- ''페르세포네'', 2001
- 게오르크 뷔히너의 ''보이체크'' (톰 웨이츠와 공동 작업), 2002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그림자 없는 여인'', 파리 국립 오페라 (오페라 바스티유), 2002
- 라퐁텐의 ''라퐁텐 우화'', 2005
- 입센의 ''페르 귄트'', 2005 (노르웨이)
- 뷔히너의 ''레온체와 레나''
- 브레히트의 ''서푼짜리 오페라'', 베를리너 앙상블, 2007
- 베케트의 ''행복한 나날'', 2008
- ''루미'', 폴란드 국립 오페라, 2008
- ''파우스트'', 폴란드 국립 오페라, 2008
- 카를 마리아 폰 베버의 ''마탄의 사수'', 바덴바덴 축제극장, 지휘 토마스 헹겔브로크, 2009
- 베케트의 ''크라프의 마지막 테이프'', 2009
- ''카탸 카바노바'', 레오시 야나체크 작곡, 프라하 국립극장, 프라하, 2010
- ''율리시스의 귀환'',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작곡, 스칼라 극장, 밀라노, 2011
- 클로드 드뷔시의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왕립극장 (마드리드), 2011
- ''파우스트 I, II'', 헤르베르트 그뢰네마이어와 공동 작업, 베를리너 앙상블, 2015년 4월
8. DVD (오페라)
-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의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 1999년 샤틀레 극장 공연. 오케스트르 레볼루셔네르 에 로만티크 & 몬테베르디 합창단, 존 엘리엇 가디너 지휘. 출연: 마그달레나 코제나 (오르페오), 매들린 벤더 (에우리디체), 패트리샤 페티본 (아모르). 아르타우스 무지크 #100062 (2000) / 워너 클래식스 #16577 (2009).
-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의 ''알체스테''. 1999년 샤틀레 극장 공연. 잉글리시 바로크 솔로이스츠 & 몬테베르디 합창단, 존 엘리엇 가디너 지휘. 출연: 안네 소피 폰 오터 (알체스테), 폴 그로브스 (아드메테), 디트리히 헨셸 (대사제와 헤라클레스), 얀 뵈롱 (에방드레), 루도빅 테지에 (전령과 아폴로), 프레데릭 카통 (신탁과 지옥의 신), 흐요르디스 테보 (코리페). 이미지 엔터테인먼트 ID9307RADVD (2000) / 워너 클래식스 #16570 (2009).
- 자코모 푸치니의 ''나비 부인''. 2003년 네덜란드 오페라 공연. 네덜란드 오페라 합창단, 네덜란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에도 데 바르트 지휘. 출연: 리처드 스틸웰 (샤플레스), 캐서린 킨 (스즈키), 마틴 톰슨 (핑커톤), 셰릴 바커 (나비 부인), 피터 블랑셰 (고로), 안넬린 비넨 (케이트 핑커톤). 컬처 비디오 #937 (2003).
-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의 ''오르페오''. 2009년 라 스칼라 극장 공연.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 오케스트라, 콘체르토 이탈리아노, 리날도 알레산드리니 지휘. 출연: 게오르그 니글 (오르페오), 로베르타 인베르니치 (라 무지카/에우리디체/에코), 사라 민가르도 (실비아/스페란차), 루이지 데 도나토 (카론테), 라파엘라 밀라네지 (프로세르피나), 조반니 바티스타 파로디 (플루토네), 푸리오. OPUS ARTE 1044.
- 클로드 드뷔시의 ''펠레아스와 멜리상드''. 2012년 파리 국립 오페라 공연. 파리 국립 오페라 오케스트라, 필립 조르당 지휘. 파리 국립 오페라 합창단, 패트릭 마리 오베르 합창 지휘. 출연: 스테판 드구 (펠레아스), 엘레나 찰라고바 (멜리상드), 빈센트 르 텍시에 (골로), 안네 소피 폰 오터 (제네비에브), 프란츠요제프 젤리히 (아르켈), 줄리 마테베 (어린 이뇰), 제롬 바르니에 (목동, 의사). 나이브 #2159.
참조
[1]
뉴스
Staging Painterly Vision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2-11-15
[2]
간행물
American avant-garde artist Robert Wilson in Europe and the Balkans
https://pmpjournal.o[...]
[3]
웹사이트
Robert Wilson
http://www.filmrefer[...]
[4]
뉴스
At 80, Robert Wilson Holds On to a Singular Vision for the Stag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2-01-16
[5]
뉴스
Robert Wilson on Stage, In Word, if Not in Dee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2-01-17
[6]
웹사이트
Famous GLTB – Robert Wilson
http://andrejkoymask[...]
2022-01-16
[7]
뉴스
Robert Wilson, Director, on His Passion for Chair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1-09-21
[8]
웹사이트
Robert Wilson
http://www.americanc[...]
American Center France
[9]
웹사이트
Wilson
https://www.adk.de/d[...]
2022-01-16
[10]
뉴스
Paris Embraces ''Einstein'' Agai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4-01-03
[11]
뉴스
Sheryl Sutton Speaks Tales As She Danc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2-01-16
[12]
웹사이트
Robert Wilson: Theatre Director + Designer
http://designmuseum.[...]
2010-03-06
[13]
뉴스
Critic's Notebook; Robert Wilson Wins A Faithful Following, But It's in Europ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0-06-20
[14]
뉴스
At Home With: Robert Wilson; The Clark Kent Of Modern Theater
The New York Times
1994-01-06
[15]
웹사이트
V EDIZIONE
https://www.premioeu[...]
2022-12-20
[16]
뉴스
Theatre: A Dream Pla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9-06-05
[17]
뉴스
Theater Review; Strindberg, Influenced by Freudian Sleep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9-06-05
[18]
웹사이트
New Musical From Tom Waits on the Horizon
http://www.antilabel[...]
Anti Records
2010-02-03
[19]
웹사이트
Robert Wilson
http://www.ruhrtrien[...]
Ruhrtriennale
[20]
뉴스
Review: Robert Wilson finds the poetry in 'Lecture on Nothing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2013-10-16
[21]
뉴스
Supersense to come under White Night Reimagined banner
https://www.smh.com.[...]
The Sydney Morning Herald
2019-05-31
[22]
웹사이트
"''The Old Woman'' Robert Wilson, Mikhail Baryshnikov, Willem Dafoe"
http://www.mif.co.uk[...]
2014-11-23
[23]
웹사이트
Cal Performance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Playbill
http://calperformanc[...]
UC Berkeley
2014-11-23
[24]
뉴스
Robert Wilson takes a walk with angels in Norfolk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2-08-22
[25]
웹사이트
Robert Wilson, ''Deafman Glance'': Video Installation, September 24 – November 13, 2010
http://www.paulacoop[...]
Paula Cooper Gallery
[26]
웹사이트
MIF13: Robert Wilson
http://www.mif.co.uk[...]
Manchester International Festival
[27]
웹사이트
Shakespeare in Sofia: Robert Wilson stages THE TEMPEST
https://robertwilson[...]
2021-10-22
[28]
웹사이트
UBU by Robert Wilson
https://www.esbaluar[...]
2022-10-13
[29]
웹사이트
Einstein on the Beach: Robert Wilson, Philip Glass, Lucinda Childs, Christopher Knowles, Andrew de Groat, September 12 – October 20, 2012
http://www.paulacoop[...]
Paula Cooper Gallery
[30]
잡지
Merging Art and television
http://www.highdef.c[...]
2007-04-20
[31]
잡지
The Subject as Star
http://www.vanityfai[...]
2006-12
[32]
뉴스
Helsinki to get new art park
http://www.theartnew[...]
The Art Newspaper
2011-06-28
[33]
뉴스
Robert Wilson's macabre video portraits of Lady Gaga
http://www.wallpaper[...]
Wallpaper (magazine)
2013-12-12
[34]
웹사이트
The Louvre invites Robert Wilson – Living Rooms, November 11, 2013 – February 17, 2014
http://www.louvre.fr[...]
Louvre
[35]
뉴스
THEATER; Robert Wilson's 21st-Century Academ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2-01-16
[36]
뉴스
Andy de Groat, 71, Downtown Choreographer, Is Dead
https://www.nytimes.[...]
2019-01-23
[37]
서적
"The Theatre Of Robert Wils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P
1996
[38]
서적
Mama Dada: Gertrude Stein's Avant-Garde Theat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
[39]
웹사이트
Sibiu International Theatre Festival 2020
https://sibfest.ro/
[40]
서적
Theatre on the Edge
Applause
1998
[41]
웹사이트
Robert Wilson: Video Portraits, May 1 – 31, 2012
http://www.timessqua[...]
[42]
뉴스
Slow Man: Robert Wilson and his first masterpiece
http://www.newyorker[...]
2012-09-17
[43]
웹사이트
What We Saw ... at Art Basel Miami Beach
https://books.google[...]
2024-03-28
[44]
웹사이트
Europe Theatre Prize – V Edition – Reasons
http://www.premio-eu[...]
2022-12-20
[45]
뉴스
Exploring The Complex World Of Performance Artist Robert Wilson
https://www.chicagot[...]
2017-05-08
[46]
웹사이트
Robert Wilson Video Portraits | May 2012 Tour
http://www.watermill[...]
[47]
웹사이트
Robert Wilson receives Hamburg's 'Medal for Arts and Science' photo preview 01900032
http://www.epa.eu/ar[...]
[48]
웹사이트
Robert Wilson – AWARDS
http://www.robertwil[...]
[49]
뉴스
Olivier awards 2013: winners in full
https://www.theguard[...]
2017-05-08
[50]
뉴스
Robert Wilson is the recipient of VAEA's Paez Medal of Art 2013.
http://vaearts.org/U[...]
2018-01-22
[51]
문서
The piece was staged in 1986 at the American Repertory Theater in Cambridge, Massachusetts and in 1987 at the Staatstheater in Stuttgart. See Weber (1989, 94) and Brockett & Hildy (2003, 550).
[52]
웹사이트
Robert Wilson, ''Parsifal''
http://www.wagnerope[...]
[53]
간행물
Program V edition
https://www.premioeu[...]
Europe Theatre Prize
[54]
웹사이트
Wings on Rock, details
http://www.changeper[...]
[55]
간행물
Program VI edition
https://www.premioeu[...]
Europe Theatre Prize
[56]
뉴스
Classical Music and Opera
https://www.theguard[...]
2003-11-10
[57]
웹사이트
RINOCERII – Teatrul National Marin Sorescu
https://tncms.ro/spe[...]
2014-07-02
[58]
웹사이트
HAMLETMACHINE
https://www.teatrodi[...]
[59]
웹사이트
Maria Huppert und Isabelle Stuart: Mary Said What She Said – Wiener Festwochen
https://www.nachtkri[...]
2019-05-31
[60]
웹사이트
Robert Wilson, Isabelle Huppert, Darryl Pinckney, Ludovico Einaudi : Mary Said What She Said
https://www.festwoch[...]
2019-05-31
[61]
문서
The piece was staged in 1986 at the American Repertory Theater in Cambridge, Massachusetts and in 1987 at the Staatstheater in Stuttgart. See Weber (1989, 94) and Brockett & Hildy (2003, 550).
[62]
웹사이트
Robert Wilson, ''Parsifal''
http://www.wagnerop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